반응형
1. 빌드 도구를 왜 사용할까?
개발을 하다 보면, 단순히 코드를 작성하는 것만으로 끝나지 않는다.
작성한 코드를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만들기 위해 여러 작업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 소스 코드를 컴파일(코드를 기계어로 번역)
- 테스트 코드 실행
- 실행 파일이나 라이브러리로 패키징
- 외부 라이브러리 의존성 다운로드
이 모든 과정을 매번 수작업으로 한다면? → 번거롭고, 실수도 많고,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바로 빌드 도구(Build Tool).
빌드 도구는 위 작업들을 자동화해주는 프로그램이다.
덕분에 개발자는 코딩에만 집중할 수 있고, 빌드는 버튼 하나로 끝낼 수 있다.
2. Gradle이란?
Gradle은 요즘 가장 많이 쓰이는 빌드 도구 중 하나다.
특징을 정리하면:
- 스크립트 언어: 빌드 설정을 Groovy 또는 Kotlin 코드로 작성한다. (마치 프로그래밍하듯)
- 빠른 빌드 속도: 변경된 부분만 다시 빌드하는 Incremental Build, 빌드 결과를 저장하는 Build Cache 덕분에 속도가 빠르다.
- 높은 유연성: 어떤 빌드 작업이든 거의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징 가능.
- 다양한 지원: Java는 물론 Kotlin, Android 앱 개발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Gradle은 빠르고, 똑똑하고, 자유도가 높은 빌드 도구다.
3. Maven이란?
Maven은 Gradle보다 좀 더 오래된, 검증된 빌드 도구다.
특징을 정리하면:
- 설정 중심: pom.xml이라는 파일 하나에 필요한 설정을 모두 적는다. (XML 기반)
- 표준화된 구조: "소스는 여기에, 리소스는 여기에" 같은 디렉토리 구조가 정해져 있다.
- 간편한 빌드: 복잡한 설정 없이도 바로 빌드 가능.
- 방대한 플러그인 생태계: 필요한 거의 모든 기능이 플러그인으로 존재한다.
Maven은 규칙이 명확하고, 한번 배우면 안정적으로 쓸 수 있는 빌드 도구다.
4. Gradle과 Maven의 차이점
항목 | Gradle | Maven |
설정 방식 | 코드 기반 (Groovy/Kotlin) | 설정 파일 기반 (XML) |
구조 | 자유롭게 설계 가능 | 정해진 표준 구조 사용 |
성능 | 빠름 (부분 빌드, 캐시 활용) | 상대적으로 느림 (전체 빌드 위주) |
학습 난이도 | 약간 높음 (스크립트 작성 필요) | 비교적 쉬움 (정해진 규칙만 따르면 됨) |
확장성 | 매우 높음 (자유롭게 플러그인 추가) | 높음 (공식 플러그인 위주) |
대표 사용처 | Android, Kotlin, 대규모 프로젝트 | 전통적인 Java, Spring 프로젝트 |
5.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선택 기준)
경우 | 추천 빌드 도구 |
복잡한 빌드 설정이 필요한 경우 | Gradle |
Android 앱 개발을 하는 경우 | Gradle |
프로젝트 구조를 자유롭게 설계하고 싶은 경우 | Gradle |
빠르게 배우고 간단히 적용하고 싶은 경우 | Maven |
기존에 Maven 기반 프로젝트가 많다면 | Maven |
표준화와 일관성이 매우 중요한 경우 | Maven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