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Tools

Gradle과 Maven: 빌드 도구의 이해와 차이점 분석

반응형

 

1. 빌드 도구를 왜 사용할까?

개발을 하다 보면, 단순히 코드를 작성하는 것만으로 끝나지 않는다.
작성한 코드를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만들기 위해 여러 작업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 소스 코드를 컴파일(코드를 기계어로 번역)
  • 테스트 코드 실행
  • 실행 파일이나 라이브러리로 패키징
  • 외부 라이브러리 의존성 다운로드

이 모든 과정을 매번 수작업으로 한다면? → 번거롭고, 실수도 많고,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바로 빌드 도구(Build Tool).
빌드 도구는 위 작업들을 자동화해주는 프로그램이다.
덕분에 개발자는 코딩에만 집중할 수 있고, 빌드는 버튼 하나로 끝낼 수 있다.


2. Gradle이란?

Gradle은 요즘 가장 많이 쓰이는 빌드 도구 중 하나다.

특징을 정리하면:

  • 스크립트 언어: 빌드 설정을 Groovy 또는 Kotlin 코드로 작성한다. (마치 프로그래밍하듯)
  • 빠른 빌드 속도: 변경된 부분만 다시 빌드하는 Incremental Build, 빌드 결과를 저장하는 Build Cache 덕분에 속도가 빠르다.
  • 높은 유연성: 어떤 빌드 작업이든 거의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징 가능.
  • 다양한 지원: Java는 물론 Kotlin, Android 앱 개발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Gradle은 빠르고, 똑똑하고, 자유도가 높은 빌드 도구다.

3. Maven이란?

Maven은 Gradle보다 좀 더 오래된, 검증된 빌드 도구다.

특징을 정리하면:

  • 설정 중심: pom.xml이라는 파일 하나에 필요한 설정을 모두 적는다. (XML 기반)
  • 표준화된 구조: "소스는 여기에, 리소스는 여기에" 같은 디렉토리 구조가 정해져 있다.
  • 간편한 빌드: 복잡한 설정 없이도 바로 빌드 가능.
  • 방대한 플러그인 생태계: 필요한 거의 모든 기능이 플러그인으로 존재한다.
Maven은 규칙이 명확하고, 한번 배우면 안정적으로 쓸 수 있는 빌드 도구다.

4. Gradle과 Maven의 차이점

 

항목 Gradle Maven
설정 방식 코드 기반 (Groovy/Kotlin) 설정 파일 기반 (XML)
구조 자유롭게 설계 가능 정해진 표준 구조 사용
성능 빠름 (부분 빌드, 캐시 활용) 상대적으로 느림 (전체 빌드 위주)
학습 난이도 약간 높음 (스크립트 작성 필요) 비교적 쉬움 (정해진 규칙만 따르면 됨)
확장성 매우 높음 (자유롭게 플러그인 추가) 높음 (공식 플러그인 위주)
대표 사용처 Android, Kotlin, 대규모 프로젝트 전통적인 Java, Spring 프로젝트

5.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선택 기준)

경우 추천 빌드 도구
복잡한 빌드 설정이 필요한 경우 Gradle
Android 앱 개발을 하는 경우 Gradle
프로젝트 구조를 자유롭게 설계하고 싶은 경우 Gradle
빠르게 배우고 간단히 적용하고 싶은 경우 Maven
기존에 Maven 기반 프로젝트가 많다면 Maven
표준화와 일관성이 매우 중요한 경우 Maven
반응형